본문 바로가기
* 경제 정보 *

실업급여 받을 수 있는 계약직 조건, 헷갈리는 포인트 정리

by 곰돌이 정 2025. 4. 21.
반응형

계약직으로 일하다 계약이 끝났다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단, 고용보험 가입 여부와 최소 근무일수는 꼭 확인하세요.


계약직인데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요?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합니다.
"계약 끝나면 나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계약직 만료 후 실업급여 질문 지식인
계약직 만료 후 실업급여 질문 지식인

계약직 실업급여, 가장 중요한 2가지 조건

  1. 고용보험 가입 여부
    → 일한 기간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합니다.
  2. 180일 이상 근무
    → 고용보험 가입 상태로 180일 이상 일했는지 확인하세요.
    → 일수는 연속이 아니어도 됩니다.

이런 경우는 실업급여 안 나옵니다

  • 본인이 먼저 퇴사 의사를 밝힌 경우
  • 재계약 제안이 있었는데 거절한 경우
  • 근무 중 무단결근, 중대한 잘못으로 인한 해고

이럴 땐 ‘자발적 퇴사’로 판단돼 실업급여 받기 어렵습니다.


실업급여 받기 위한 필수 조건
실업급여 받기 위한 필수 조건

계약만료라면 실업급여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계약직이라도 회사에서 재계약 의사를 보이지 않고 계약이 종료된 경우, 이는 자발적 퇴사가 아닙니다.

즉, 비자발적 이직으로 인정돼 실업급여 수급 요건을 만족합니다.


실업급여 신청 절차, 어렵지 않습니다

  1. 이직확인서 확인
    → 회사에서 고용보험에 이직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 워크넷 구직등록
    → 워크넷에 구직 신청을 먼저 해두세요.
  3. 고용센터 방문 상담
    → 온라인 예약 후 상담 진행, 수급자격 심사 진행됩니다.
  4. 실업인정 교육 수강
    → 필수 절차이며 온라인 수강 가능합니다.
  5. 실업급여 수령 시작
    → 인정되면 1~2주 후 첫 지급 시작. 주기적으로 구직활동도 필요합니다.

실업급여 받을 수 없는 경우
실업급여 받을 수 없는 경우

놓치기 쉬운 팁 하나

계약기간 종료 전에 그만두면 실업급여 안 나옵니다.
꼭 마지막 근무일까지 성실히 일하세요.
그게 실업급여 수급의 첫걸음입니다.


계약직 실업급여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실업급여 되나요?
고용보험 가입 + 180일 근무 시 가능

 

180일 근무는 연속이어야 하나요?
아니요. 단, 고용보험 가입 상태여야 합니다.

 

재계약 제안 거절하면 실업급여 못 받나요?
네. 자발적 퇴사로 간주됩니다.

 

근로계약서가 없어도 신청 가능할까요?
있어야 유리합니다. 없으면 확인 절차가 더 까다롭습니다.

 

단시간 근무도 인정되나요?
일주일에 15시간 이상이면 인정될 수 있습니다.


핵심만 기억하세요

계약직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조건은 고용보험 가입과 180일 이상 근무.
계약만료는 비자발적 이직으로 인정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