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금이 무조건 좋은 건가요? 24k, 18k, 14k 차이 알고 쓰면 다릅니다
반짝이는 금제품, 예쁘긴 한데… 24k는 무겁고 14k는 덜 금 같고, 어떤 걸 골라야 할지 고민되신 적 있으셨죠?
금, 반짝이는 만큼 헷갈리는 존재
요즘 금 반지나 목걸이 하나쯤은 다들 갖고 계시죠.
그런데 막상 고르려고 하면 “이건 24k예요”, “이건 14k라 색이 조금 달라요” 이런 말에 갸웃해지곤 해요.
금은 다 같은 금인 줄 알았는데…
도대체 이 k는 뭔지, 또 24k, 18k, 14k 차이는 왜 중요한 걸까요?
괜히 비싼 것만 좋은 걸로 착각했다가, 실제 내 생활엔 안 맞는 선택이 될 수도 있거든요.
출처 : 유튜브 3분차이
저도 처음엔 몰랐어요, 진짜 금을 고르는 기준
예전에 친구 결혼 선물로 금목걸이를 알아보러 갔을 때였어요.
판매자분이 “이건 24k, 순금이에요. 하지만 18k가 더 단단하고 실용적이에요” 라고 하시더라고요.
순금이면 당연히 최고 아닐까 싶었는데,
듣다 보니 금이 순도 높다고 다 좋은 건 아니라는 걸 알게 됐죠.
이런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금 제품을 사려고 하는데 어떤 k가 좋은지 모를 때
- 순금이라 믿고 샀는데 너무 물러서 금방 흠집 난 경우
- 선물할 건데 24k가 너무 부담스러워 고민 중인 상황
24k, 18k, 14k 차이 제대로 알기
1. K는 왜 붙는 걸까요?
**K는 캐럿(Karat)**의 약자로,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예요.
여기서 말하는 캐럿은 무게 단위가 아닌 순도 기준이라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한 덩어리 금을 24조각으로 나눴을 때
그 중 몇 조각이 순금인지를 뜻하는 거예요.
- 24k = 24조각 전부 순금 → 약 99.9%
- 18k = 24조각 중 18조각만 순금 → 약 75%
- 14k = 24조각 중 14조각만 순금 → 약 58.5%
2. 왜 섞어요? 금의 약점 때문이에요
순금(24k)은 무르고 흠집에 약해요.
그래서 실생활에서는 쉽게 찌그러지거나 기스가 생기기 쉬워요.
그래서 구리, 은, 니켈, 아연 같은 금속을 섞어 단단하게 만들어요.
이런 걸 합금이라고 하죠.
그 덕분에 18k나 14k는 단단해서 일상에서 착용하기 좋은 금제품이 되는 거예요.
어떤 K를 골라야 할까요?
18K가 실용성과 외관의 균형이 좋아요
- 색도 순금과 비슷하게 따뜻한 금색
- 내구성도 좋아서 매일 착용하기에 부담 없음
- 결혼 예물, 데일리 목걸이 등에 가장 많이 쓰여요
14K는 튼튼하고 가격 부담도 적어요
- 금 함량은 적지만 가볍고 저렴
- 조금 더 밝은 노란빛이 돌기도 해요
- 학생 선물, 가벼운 액세서리로 인기 있어요
24K는 상징적이거나 보관용에 적합해요
- 가장 순도 높은 금으로 가치가 높지만
- 일상생활엔 잘 안 어울리는 소재예요
- 돌 반지나 금 수저, 순금 메달 등에 주로 쓰여요
내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더 좋아요
✔ 매일 착용할 목걸이: 18k 추천
✔ 부담 없는 선물: 14k 추천
✔ 상징성 있는 기념품: 24k 추천
이렇게 쓰임새에 따라 고르면
불필요하게 비싼 제품을 고르지 않아도 되고,
실용성도 챙길 수 있어요.
금 제품은 가격보다 쓰임새를 먼저 생각해보는 게 좋아요.
이제는 “그냥 순금 주세요” 대신
**“사용 목적에 따라 K를 선택해야겠다”**는 감각이 생기셨죠?
좋은 금, 똑똑하게 고르려면
다음번 금방 갈 때, 꼭 한 번 이 내용을 떠올려 보세요.
'* 생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바꿀 때 배관도 새로? 헷갈리는 포인트 정리 (0) | 2025.04.19 |
---|---|
오렌즈 난시용 렌즈 예약방법, 전화로 쉽게 해결하는 팁 (0) | 2025.04.19 |
키위새 멸종 현실, 멸종위기동물로 지정된 이유 (2) | 2025.04.11 |
서해선 복선전철 이용 팁 화성역 도착 후 교통까지 (0) | 2025.04.07 |
대구 2호선 막차 시간표 쉽게 확인하는 방법 (0) | 2025.04.06 |